02. 핵심노트 독해 관련 질문 답변 공유
핵심노트 기출변형문장 독해연습하는 파트 질문 1
질문 1. 선생님, 이 부분에 대해서 이해가 너무 안되어 문의를 남겨보아요ㅠ
1) 해석문제
- expect가 5형식 동사로! 모든 직원들은 예상되었다 그 회사의 정책과 지침을 준수할 것을 개인 정보보호와 보안에 관하여. 이렇게 해석했는데, 매끄럽지는 않은 것 같고ㅠ 책에서 써져있는 준수해야합니다가 어쩌다 저렇게 해석되었는지 궁금합니다ㅠ!!
2) 문법 관련
- to 부정사를 목적격 보어로 가지는 expect가 수동태로 쓰였다고 하였는데, 수동태로 쓰이면 문장구조가 어떤 식으로 바뀐건가요?🥹 그리고 to adhere to 이것이 목적격 보어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드린 내용
All employees are expected to adhere to the company's policies and guidelines regarding data privacy and security.
인친님 해석한거 : 모든 직원들은 예상되었다 그 회사의 정책과 지침을 준수할 것을 개인 정보보호와 보안에 관하여.
-> 일단, are expected to V 는 be동사가 현재시제라서 "예상되었다" 라고 과거시제처럼 해석하시면 안됩니당 ! 이 부분 토익 팟7 해석할 때 많이들 실수하세요! :)
be expected to V : ~할 것으로 기대된다(예상된다)인데, 이건
expect + 목적어 + 목적격보어(to V) : 5형식 능동태였는데 목적어가 주어로 가면서 be expected to V 이렇게 남은 거라서 to adhere to가 목적격보어가 맞습니다^^
이 때 목적격보어는 "준수할 것으로" 라고 해석되는 거죠!
expect를 5형식 능동으로 바꿨을 때, 문장을 한번 적어드려볼께요!
"The company expects all employees to adhere to its policies and guidelines regarding data privacy and security."
-> 이렇게 all employees가 목적어였는데 주어 자리로 오면서 be expected to V 형태로 바뀐거죠. (능동일때 주어는 문맥에 맞게 제가 company로 유추해서 넣은거예요)
그래서, 다시 해석으로 돌아오면,
All employees are expected to adhere to the company's policeis. 까지 보면,
모든 직원들은 회사 정책을 준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게 직역이죠? 근데 be expected to V는 문맥에 따라 의무적인 뉘앙스를 가질 수도 있어요! 그래서 "~할 것으로 기대된다"를 "~해야한다"로 해석해도 무방한거죠!
실제로 "~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하면 조금 매끄럽지 않은 것처럼 느껴지죠? 그러니 앞으로는 be expected to V를 "V해야한다"로 한번 해석해보셔요^^
그럼, 다시 정리하면,
모든 직원들은 회사 정책과 가이드라인을 준수해야 한다.이고
regarding은 뜻만 외우지 마시고 regarding을 기준으로 앞명사와 뒤명사와의 관계를 생각해보세요.
A regarding B 라고 하면, A 라는 명사를 설명하는 게 B ! 즉, A가 주제라면, B는 주제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이 따라 온다고 보시면 돼요. 뜻이 "~에 관해서" 니까!
이렇게 전치사를 기준으로 앞뒤관계를 따지다보면, 전치사 문제접근도 쉬워지고, 팟6 빈칸 넣기도 조금 더 수월해질 수 있어요!
guideline 인데, 그 가이드라인 세부사항이 어떤 거냐면, 개인정보 보호랑 보안에 관한 세부사항이라구용!!
저는 그래서 끊어서 해석 하되, 말하듯이 쭈~~~욱 연결해서 해석을 해요. 그럼 막힘없이 글을 읽어 내려갈 수 있죠!
All employees are expected to adhere to the company's policies and guidelines regarding data privacy and security.
모든 직원들이 회사 정책과 가이드라인을 준수해야 하는데, 그 가이드라인이란건 개인정보 보호랑 보안에 관한거구나... 라고용!!
핵심노트 기출변형문장 독해연습하는 파트 질문 2
선생님ㅠ 그 바로 아래 문장 역시 위와 같은 맥락의 문장 같아서 문의 남겨보아요ㅠ
1) assign 4형식: 할당해주다
(~에게 ~을/를 해주다)
위 문장에서는 assigned 뒤에 바로 diverse task가 나오는데, 이를 ~에게로 해석하지 않고 다양한 업무를로 해석했는데, 그렇다면 ~에게는 어디있는건지ㅠ 이해가 어렵고 왜 할당 받아로 해석되는지도 궁금합니다ㅠㅠ
2) 그리고 바로 이어서 나오는 to enhance their skills and broaden their experience. 위 문장을 저는 그들의 기술의 향상시키고 경험을 넓히기 위해 다양한 업무를 할당 받는다! 이렇게 해석하였는데, 책에서는 다양한 업무를 할당 받아 기술을 향상시키고 경험을 넓히도록 "합니다" 라고 되어있어서 어떻게 해서 이렇게 되는지 너무 궁금합니다ㅠㅠ
답변드린 내용
Employees are encouraged to take on new challenges and are often assigned diverse tasks to enhance their skills and broaden their experience.
직원들은 새로운 도전을 수용하도록 권장되며 종종 다양한 업무를 할당 받아 기술을 향상시키고 경험을 넓히도록 합니다.
1) be assigned diverse tasks 해석 설명
: diverse task를 ~에게로 해석하지 않은 이유는 사람이 아니여서예요!!
"~에게, ~을/를 해주다"로 해석하는 경우는 4형식 능동태 형태일때예용!! assign을 4형식 능동으로 하면 "assign + 간목(사람) + 직목(사물)" 이잖아용 ?
지금은 4형식이 수동태로 되면서 사람이 앞으로 빠진 경우에요!
능동태를 수동태로 바꾸면 바로 뒤에 있는 목적어가 주어로 간다고 생각하시면 돼용!!
즉, 원래는 assign employees diverse tasks (직원에게 다양한 직무를 할당해주다) 였는데, 목적어인 employees가 주어로 간 거죠! are 앞에 주어는 생략되어 있어요! 등위접속사 and 때문에용!!
등위접속사는 같은 말 하면 생략할 수 있어서 주어가 같아서 생략한 채로 쓴거죠.
수동태가 되었기 때문에 "할당해주다"가 아닌 "할당받다"가 되는 거구용^^!!
2) to enhance ~ 해석 설명
: 일단 실제로 토익에서 소유격 their을 보시면 "그들의"라고 해석하지 마시고, their이 무엇을 가리키는 지 생각해서 해석하셔야 해요.
지금은 their이 직원을 말하고 있죠?? 그러니 이 문장에서도 기술을 향상시키는 건 어차피 직원이기 때문에 이어서 해석이 가능한 거예요.
그리고, to 부정사가 용법이 여러가지 있는데 인친님처럼 "~하기 위해"라고 부사처럼 해석하는 경우가 가장 많죠?
즉, 이걸 다른 말로 하면, 앞 행동을 하는 목적이 될 수 있어요. 다양한 업무를 받는 목적은 자신들의 기술이나 경험을 넓히기 위해서라고,
즉, 이걸 또 다른 말로 하면, 댜앙한 업무를 받아서, 기술을 향상시키고 경험을 넓히는 데 사용하는 거죠.
목적과 결과는 위치가 바뀌어도 의미는 통해요.
쉬운 예로, 약을 받았다. 호전되기 위해서.
이렇게 해석을 했다고 쳐요.
그러면, 우리는 자연스럽게, 약을 받아서 호전되었다. 라고 해석할 수 있죠? :)
이것도 같은 원리예요.
다양한 업무를 할당받는다.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업무를 할당받아 기술을 향상시킨다!
이렇게요! :)
핵심노트 기출변형문장 독해연습하는 파트 질문 3
사진속에 두 가지 형식이 비슷한데,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여쭤보아요!
1) choose - allowing // deemed - rendering = 쉼표로 연결되어있는데 왜 같은 choose, allow 이렇게 안쓰이는지 궁금해요
2) 첫 번째 문장에서, [ 일부 직원들은 ~ 선택한다. "그것은" 더 큰 도시에서 ~ 허용한다. ] 왜 그것은으로 연결이 되는건가요? // 이와 마찬가지로 두 번째 문장 역시 [ 이사회는 ~ "판단하여", 대안적인 접근 방식을 ~ 여겼습니다. ] 왜 이렇게 연결되며 해석이되는지 궁금합니다ㅠ
3) 마지막으로 render은 5형식 동사로 " ~을 ~하도록 만들다" 인데! 위 문장에서는 rendering it necessary가 ➡ it(=proposed strategy)를 필요로 하도록 만들다! 이렇게 해석하면 안되나요~?
답변드린 내용
아 방금 질문하신 부분은 '분사구문'의 이해가 필요한 부분이예요 !
혹시, 분사를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지 잘 모르겠지만, 일단 그럼 원래 문장을 설명드리고, 분사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알려드릴께요 !
원래 문장 : Some employees choose to live in nearby cities and commute to work because some employees allow them to compete for job opportunities in a larger metropolitan area.
중간에 "because some employees allow" 보이시죠~~?
부사절 접속사 because
앞 문장과 같은 주어 some employees
가 생략되면서 본동사 allow에다가 -ing를 붙이면, 지금의 문장처럼 분사구문이 되는 거랍니다!!
Some employees choose to live in nearby cities and commute to work, allowing them to compete for job opportunities in a larger metropolitan area.
이렇게요!
그럼 쉼표가 갑자기 왜 생겼을까요~?
"문장이 2개였고 접속사도 1개 있었는데, 내가 분사구문을 만든거다" 라고 알려주는 용도라고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즉, 분사구문은
원래 문장 : 주어 + 동사 부사절 접속사 주어 + 동사. <--이거를
분사 구문 : 주어 + 동사, 타동사ing ~ . 이렇게 바꿔주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즉,
1) choose - allowing, deemed - rendeing 왜 같은 형태로 안쓰는지에 대답이 이렇게 되는 거죠.
: 만약 뒤에 있는 allowing을 allow로 바꿔쓰게 되면,
Some employees choose to live in nearby cities and commute to work, allow them to compete for job opportunities in a larger metropolitan area.
이렇게 되잖아요?
문장이라는 건, 형식에 맞게 주어와 동사가 다 있어야 하지 쉼표 다음에 아무 이유없이 동사원형만 덩그라니 있을 수 없어서랍니다.
and allow -> 이것도 등위접속사 and 덕분에 같은 주어라서 주어를 생략할 수 있었던 거고
, allowing -> 이것도 부사절접속사와 주어가 동시에 생략이 되었다는 걸 알려주기 위해 "쉼표와 ing"를 붙인거랍니다!
참고로, 주어 + 동사, p.p ~~. 이것도 마찬가지로 분사구문이예요. ing와 차이점은 p.p 다음에 목적어가 없다는 것이죠.
그리고, 꼭 분사 구문이 "주어 + 동사, 타동사ing ~. " 이런 순서여야 하는 건 없어요. 두 가지 순서를 바꿔서, "타동사ing ~~, 주어 + 동사." 이렇게 써도 무방합니다^^
2) 해석이 왜 그것은 이라고 연결되는지 답변
: 중간에 접속사가 생략되어 있잖아요?? 근데 독해를 빨리하면서 어떤 접속사가 생략되어 있는지 생각할 겨를도 없고 맞힐 수도 없어요. 그저 저처럼 원래문장을 문맥에 맞게 유추해서 부사절 접속사를 정할 뿐이죠.
즉, 제가 because라는 부사절 접속사를 썼지만, 다른 부사절접속사도 매끄러우면 그것도 가능한거예요!
그러니 분사구문 해석은 두 문장이 말만 매끄럽게 연결되면 된답니다 !! 지금 해석은 "그것은" 이라고 했지만, 사실상 가장 많이 하는 분사구문 해석은 "그리고 ~ 한다(했다)" 라고 해석하면 돼요. 동사의 시제는 앞 동사의 시제에 맞게 정하시면 되구요!
지금은 choose 현재시제니까 "그리고 허용한다" 라고 하면 되는 거죠!
즉, 다시 정리하자면,
일부 직원들은 주변 도시에 거주하며 출퇴근하기를 선택한다. 그리고 (그렇게 하는 건) 더 큰 도시에서의 취업 기회에 대해 경쟁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런식으로요!! 앞문장과 쭉~~ 연결된 거니까.. !! 인칭대명사 them은 전부 직원들이니까 굳이 "그들"이라고 재언급할 필요도 없는거구용!
3) rendering it necessary to ~ 해석
: render이 "~을 ~하도록 만들다" 죠?
여기서 일단 it이 뭘 받는지 먼저 찾아주시면 좋아요! 앞 문장에서 단수명사 찾으면 "proposed strategy" 겟죠?
즉, "제안된 전략을 ~할 필요가 있게 만들다" 근데, necessary 다음에 to 부정사가 또 딸려 있죠~~? 뭘 할 필요가 있는지까지 붙여서 해석해야 해요!
"제안된 전략을 대안적인 접근방식을 탐색할 필요가 있게 만들다" -> 자 이게 직역으로 하면 말이 되게 어렵지만, 앞 문장과 연결해서 생각하시면 오히려 쉽게 풀려요.
이사회가 제안된 전략을 비효과적으로 판단했잖아요??
그러면 그 전략이 맘에 안드는 거니까, 다른 방식을 알아와라!? 이러겟죠?
그렇게 때문에 뒤에서 "니가 제안한 그 전략 맘에 안드니 다른 접근방식을 찾을 필요가 있겠구나" 라고 말한 셈인거죠!
그래서, 지금처럼 의역을 한 거랍니다!!